지포스도 마찬가지였지만 과거 라데온의 카탈리스트 드라이버는
동영상의 dynamic range를
모니터 재생용으로 제대로 변환하지 않았다.

그러던 것이 어느날부턴가 0-255 Full Range로
기본값이 바뀌게 된다.


뿌연 색감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확실하게 하려면
카탈리스트에서
비디오 세팅의 dynamic range를 Full(0-255)로 놓자.
지포스도 마찬가지로 지포스 제어판에서. (인텔은 잘 모르겠다)
이 세팅은 smplayer에도 적용이 된다.

이렇게 색감을 PC용으로 맞추고도 조금 뿌옇게 보일 때는 원작자가
일부러 의도한 것일 것이다.

막대기가 0~16에서 보이냐 마느냐는 TV와 연결할 때 중요한 것이고
모니터라면 일단 0까지 모두 표시되면 OK. 그리고 뿌연 색감만 안
나타나면 된다.

또다른 비교 스샷.


팟플레이어나 KMP 설정법을 적은 글에서 레벨 조절 필터를 켜라고
말하는 것을 가끔 보는데, 그래픽 드라이버에서 dynamic range를
보정한 상태라면
중복해서 색감을 조절하는 것이니 주의하자.

Posted by 猫한 보스코
,
1) 대부분의 컴퓨터에서 기본적으로 보이는 화면. 검정이 뜨는 걸 확인할 수 있다.
틀린 얘기다. 원본이 원래 이런 것일 수 있다.


2) Luminance를 수정한 스샷. 실제로는 후처리 필터가 적용되기 시작하면서
몇 초 뒤에 컬러 스페이스가 고쳐진다. 스샷은 파일을 연 후 되감기를 해서 찍은 것.

이 스샷은 사실 색감이 과도하게 보정된 경우다.


3) ATi, nVIDIA의 드라이버에서 컬러 스페이스 옵션을 제공한다.
단 출력 방식이 EVR 이상이어야 효과가 있고 smplayer에서는 작동하지 않는다.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는 카탈리스트의 Video 세팅이 확실히 적용된다.
smplayer는 확신하기 힘들지만 EVR과 연관이 없으므로 안 되는 듯싶다.
허나 Dynamic Range만은 smplayer도 영향을 받는다. 이건 확실함.

4) 첨부한 TV_LEVELS_TEST_CLIPS.zip 파일을 이용하면 luminance가 정확한지
    확인할 수 있다.

TV_LEVELS_TEST_CLIPS.zip

- 블랙 레벨이 제대로일 때. 16보다 조금 낮은 값부터 완전 블랙이 된다.
모니터에서 이렇게 16 미만이 짤린다면 과도하게 보정된 것이다.
다만 TV로 재생할 때는 이 상태가 올바른 설정이다.



- 블랙이 뜰 때. 0까지 가야 완전 블랙이 된다.
이 상태가 모니터로 재생할 때 올바른 설정값이다. 0~16 사이도 표현이 되어야 한다.


mplayer는 luminance를 자동 조절하므로 필터 적용에 시간이 걸린다. 15초 정도
재생했다가 다시 처음으로 재생 위치를 되돌리자. 평소에 영화를 볼 때는 제작사
타이틀이나 주제가 등으로 여유 시간이 있으므로
크게 신경쓸 필요가 없을 것이다.
luminance 자동 조절을 쓰지 않도록 하자.

- 화이트 레벨이 제대로일 때
역시 TV로 볼 때는 이렇게 되어야 정상이겠지만
모니터로 볼 때라면 과도하게 설정된 경우다.


mplayer는 235를 조금 넘어 완전한 흰색이 된다. 자동 조절 기능이 235보다
조금 높은 값을 적당하다고 생각하는 듯.
ffdshow + 곰플에선 칼같이 235부터
흰색이 나오는데, 파일에 따라 칼같은 적용이 되려 부자연스러울 수 있다.
즉 mplayer의 자동 조절이 더 낫다는 것.


- 화이트 레벨이 정상이 아닐 때
모니터로 볼 때라면 이게 정상.

Posted by 猫한 보스코
,

1) Avidemux 깔고 Audio를 PCM 선택. mp3로 뽑으려면 mp3 선택.
오디오 트랙이 원래 mp3면 Copy.

메뉴에서 Audio > Save

Audio > Main Track으로 트랙 선택.

2) mplayer 간단한 방법. mp3나 wav로 변환 없이 원본 그대로 추출한다.

mplayer -dumpaudio -dumpfile output_filename.mp3 input.video_file.name

3) 위의 방법으로 사운드 트랙이 정상적으로 추출되지 않을 때 쓰는 무식한 방법
재생을 걸고 사운드 데이터를
raw data로 실시간 기록.

"C:\Program Files\Mplayer\MPlayer.exe" -vo null -ao pcm:file=추출 파일 경로 "D:\xvid.avi"

또는 mplayer -novideo -ao pcm:file=추출 파일 경로 <동영상 파일>


mp3 변환은 요즘 이상하게 iTunes로 하게 됨(...)
mp3 변환은 audacity에서 mp3 내보내기 기능을 비롯해

널렸음. 인코더는 lame.

Posted by 猫한 보스코
,